전체 글42 [Git] Git 파일 관리 : add, status, rm Git은 변경된 파일을 자동으로 커밋하지 않습니다.커밋하려면 반드시 추적(tracking)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 과정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가 바로 add, status, rm입니다.이번 글에서는 Git에서 파일을 추가하고, 변경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파일을 제거하는 일련의 흐름을 명확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파일 변경 흐름 이해하기Git은 파일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단계로 구분해서 관리합니다.Working directory (작업 디렉터리).git 디렉터리를 제외한 모든영역으로 사용자가 작업하는 디렉터리입니다.*Staging area (스테이징 영역)*git add를 한 파일들은 staging 상태로 올라가게 되는데, 이 곳에 있는 파일들만 커밋에 반영됩니다.*Repository (저장소)*wo.. 2025. 4. 16. [Git] Git 저장소 생성 및 연결 : init, clone, remote Git을 설치하고 사용자 설정까지 마쳤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저장소(repository) 를 생성하고 원격 저장소와 연결해 사용할 준비가 되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Git 저장소를 처음 만들거나 복제(clone)하고, 원격 저장소(remote)를 추가해 협업을 위한 기반을 만드는 과정까지 순차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init - 로컬 저장소 생성하기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는 먼저 로컬에 Git 저장소를 초기화해야 합니다.이 작업은 기존 폴더를 Git으로 추적 가능한 프로젝트로 만드는 과정입니다.mkdir my-projectcd my-projectgit init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git이라는 숨겨진 폴더가 생성되며, 해당 폴더 안에서 Git이 변경 이력을 관리하기 시작합니다.이 상태는 아직 아무 파일.. 2025. 4. 15. [Git] Git 설치 및 초기 설정 : config Git은 소스 코드 변경 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분산 버전 관리 도구입니다.하지만 단순히 설치만 한다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처음 사용할 때 반드시 설정해야 할 사용자 정보와 환경 구성이 존재합니다.이번 글에서는 Git 설치 방법부터, 사용자 정보를 설정하는 config 명령어 사용법, 그리고 GitHub 연동 시 로그인 정보를 캐시에 저장하는 방법까지 함께 정리해보았습니다.Git 설치하기 (Linux, macOS, Windows)Linux에서 Git 설치하기Ubuntu 및 Debian 계열Ubuntu 및 Debian 기반의 리눅스에서는 apt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여 Git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gitgit --versi.. 2025. 4. 14. [Git] Git이란 무엇인가요? 개발을 하다 보면 한 가지 이상의 변경사항을 여러 사람과 함께 나누어 작업하고, 작업 이력을 관리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이런 상황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분산 버전 관리 도구가 바로 Git 입니다.이번 글에서는 Git이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에 대해 소개하고 이어서 Git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글을 작성합니다. Git 이란 무엇인가요?Git은 소스 코드의 변경 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VCS)입니다.개발 도중 발생하는 수많은 변경 사항을 기록하고, 이전 상태로 되돌리거나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데에 매우 유용합니다.대부분의 버전 관리 시스템은이전 버전을 확인하거나,변경 내용을 비교하고 되돌리거나,여러 개발자 간에 작업 내용을 병합하고 공유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G.. 2025. 4. 13. nslookup, ss - 네트워크 진단 명령어 리눅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관련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를 소개합니다.nslookup - DNS 정보를 상세하게 확인할 때 사용되며,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간의 변환, DNS 레코드 등을 확인ss - netstat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더욱 빠른 속도와 세부적인 소켓 상태를 제공하는 최신 유틸리티 nslookup - DNS 질의 도구nslookup (Name Server Lookup) 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할 때 사용되는 도구입니다.DNS 서버와 직접 통신하여 질의(query)를 수행함으로써 DNS 관련 문제의 원인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nslookup [옵션] [도메인명]#특정 도메인에 대한 기본 IP 확인nslookup google... 2025. 4. 12. nmcli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명령어 nmcli는 NetworkManager의 CLI(Command Line Interface) 도구입니다. GUI 환경 없이도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 관리, 삭제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WI-FI 연결, IP 변경, VPN 연결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nmcli 설치 여부 확인일반적으로 대부분의 Linux 배포한에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없는 경우 아래의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Ubuntu/Debian 계열sudo apt install network-manager#RHEL/CentOS 계열sudo yum install NetworkManager nmcli 주요 명령어nmcli [option] [command] [매개변수]g / generalstatusNetworkMa.. 2025. 4. 11. ip - 네트워크 명령어 ip 명령어는 iproute2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는 도구로,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주소, 라우팅 테이블 등을 포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CLI 툴입니다.기존의 ifconfig, route, netstat 등의 다양한 명령어들을 하나로 통합하며, 보다 정밀하고 유연한 제어가 가능합니다.ip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 확인 및 제어IP 주소 할당 및 제거라우팅 테이블 및 정책 설정ARP 테이블 및 neighber 정보 관리ip 명령어 사용법ip [object] [command] [options] object 자주 쓰는 예시addr / aIP 주소 설정 및 조회ip addr showlink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리ip link set eth0 uproute.. 2025. 4. 10. rsync : 파일 백업과 동기화 rsync는 Remote Sync의 약자로, 로컬과 원격 시스템 간 파일을 빠르게 전송하고, 변경된 부분만 동기화해주는 유틸리티입니다. rsync의 특징rsync는 기본적으로 변경된 부분만 복사하기 때문에, 대용량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파일의 크기와 수정 시간을 비교해서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파일 내부의 일부만 바뀐 경우에도, 바뀐 블록만 전송합니다.압축 전송으로 네트워크 효율성 향상Permision, Timestamp, 소유자 등 메타 데이터 유지SSH 프로토콜 기반의 안전한 파일 전송 rsync 패키지 설치 및 설정# rsync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rsync -qa | grep rsync# rsync 설치yum install -y rsync# rsync 설정 파일 경로# rsync.. 2025. 4. 9. Nginx LB 서버 - nginx.conf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서버 이중화를 위해 LB서버로 Nginx를 이용하여 구성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이전 글에서 Nginx 컴파일 설치 과정을 정리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proxy 설정과 서버 이중화를 위한 설정을 정리해보겠습니다.이전 글에서 nginx 컴파일 설치를 하며 주요 디렉터리 경로를 따로 지정한 후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nginx 서비스 명령어 - nginx.service 파일을 systemd에 등록하여 아래 명령어로 사용 가능systemctl daemon-reloadsystemctl enable nginx.servicesystemctl start nginxsystemctl status nginxsystemctl stop nginx# nginx.conf 설정 내용 체크cd /.. 2024. 3. 12. Nginx 컴파일 설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서버 이중화를 위해 LB서버로 Nginx를 이용하여 구성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리눅스 환경에서 개발환경을 조성할 때 설치방법이 패키지 설치와 컴파일 설치가 있는데,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컴파일 설치로 진행했습니다.먼저 컴파일 설치와 패키지 설치의 장단점을 비교해보고 nginx를 컴파일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패키지 설치 vs 컴파일 설치패키지 설치리눅스에서 필요한 환경을 설치할 때 yum, apt 등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이러한 yum, apt 같은 명령어를 package manager라고 한다.package manager는 소프트웨어의 설치, 업데이트, 구성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리눅스에서는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의존성.. 2024. 3. 12. GitHub Action CI/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1) 이전에 프로젝트 배포를 할 때는 jar 파일만을 올리는 git repository를 이용하여 push 한 후, EC2 서버에 접속한 뒤 jar 파일을 pull 받아 실행시키는 방식으로 배포를 했습니다.이 방식을 여러 번 진행한 결과 수동으로 매번 빌드를 하고 파일을 옮겨야 하는 방식이 매우 비효율적으로 느껴졌고, 이 과정을 자동화 할 방법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빌드/배포 자동화 방식들을 알아보게 되었고, 여러 방식들을 찾게 되었습니다.그 중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인 Github Actions를 사용하여 다양한 배포 방식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Github Action은 워크플로우를 통해 빌드와 배포의 자동화가 가능하며,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고 배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시킬 .. 2023. 11. 26. Github Action이란 Github Action이란GitHub Actions는 빌드, 테스트 및 배포 파이프라인을 자동화할 수 있는 지속적 통합 및 지속적 배포(CI/CD) 플랫폼이다. 레포지토리에 대한 모든 풀 리퀘스트를 빌드하고 테스트하는 워크플로를 만들거나 병합된 풀 리퀘스트를 프로덕션에 배포할 수 있다.GitHub Action을 사용하는 이유Github와 하나로 통일된 환경에서 CI 수행이 가능하다.중앙에서 관리하는 Github Actions Runner에 지속적으로 트러블 슈팅하여 원활한 CI 환경 구성이 가능하다.프로젝트마다 개별 Runner를 통한 빌드 테스트가 가능하다.Github Actions Runner 기동을 하기 위해 친숙한 문법의 YAML 파일로 간단하게 파이프라인 구성이 가능하다.깃허브가 public .. 2023. 11. 26. [AWS] ECR - Elastic Container Registry AWS에서 제공하는 Docker Hub와 비슷한 개념으로, 안전하고 확장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AWS 관리형 컨테이너 이미지 레지스트리 서비스이다.Docker Hub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지만 장점으로는 S3로 Docker Image를 고나리하므로 고가용성을 보장하고, AWS IAM 인증을 통해 이미지 push/pull 에 대한 권한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ECR의 구성요소RegistryAmazon ECR 프라이빗 레지스트리는 각 AWS 계정마다 제공되며, 레지스트리에 하나 이상의 리포지토리를 생성하고 이 리포지토리에 이미지를 저장함RepositoryECR 리포지토리에는 Docker 이미지, Open Container Initiative(OCI) 이미지 및 OCI 호환 아티팩트가 포함된다. 이.. 2023. 11. 26. Spring에서 기상청 API 사용하기 프로젝트 개발을 진행하면서 공공데이터 API를 사용하며 API 통신으로 받아온 Json 데이터를 변환하는 방법을 정리한 글입니다. 현재 날짜의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 현재 시각의 습도를 조회하기 위해 기상청 단기예보 조회서비스를 사용한다.단기예보조회 API의 상세기능명세는 다음과 같다. 상세기능명 단기예보조회상세기능 설명단기예보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발표일자, 발표시각, 예보지점 X좌표, 예보지점 Y 좌표의 조회 조건으로 발표일자, 발표시각, 자료구분문자, 예보 값, 예보일자, 예보시각, 예보지점 X 좌표, 예보지점 Y 좌표의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Call Back URLhttp://apis.data.go.kr/1360000/VilageFcstInfoService_2.0/get.. 2023. 9. 8. Jackson 라이브러리란? 프로젝트 개발을 진행하면서 공공데이터 API를 사용하며 API 통신으로 받아온 Json 데이터를 변환하는 방법을 정리한 글입니다.Java Object를 JSON으로 변환하거나 JSON을 Java Object로 변환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인 jackson을 사용했습니다.Jackson-databindJackson 라이브러리는 Java 객체와 JSON 간의 변환 및 직렬화/역직렬화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Jackson은 Java의 JSON 처리를 단순화하고 유연성을 제공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도와준다.jackson 라이브러리 dependency추가implementation group: 'com.fasterxml.jackson.core', name:.. 2023. 9. 7.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