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18 nslookup, ss - 네트워크 진단 명령어 리눅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관련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를 소개합니다.nslookup - DNS 정보를 상세하게 확인할 때 사용되며,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간의 변환, DNS 레코드 등을 확인ss - netstat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더욱 빠른 속도와 세부적인 소켓 상태를 제공하는 최신 유틸리티 nslookup - DNS 질의 도구nslookup (Name Server Lookup) 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할 때 사용되는 도구입니다.DNS 서버와 직접 통신하여 질의(query)를 수행함으로써 DNS 관련 문제의 원인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nslookup [옵션] [도메인명]#특정 도메인에 대한 기본 IP 확인nslookup google... 2025. 4. 12. nmcli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명령어 nmcli는 NetworkManager의 CLI(Command Line Interface) 도구입니다. GUI 환경 없이도 네트워크 연결을 생성, 관리, 삭제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WI-FI 연결, IP 변경, VPN 연결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nmcli 설치 여부 확인일반적으로 대부분의 Linux 배포한에는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없는 경우 아래의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Ubuntu/Debian 계열sudo apt install network-manager#RHEL/CentOS 계열sudo yum install NetworkManager nmcli 주요 명령어nmcli [option] [command] [매개변수]g / generalstatusNetworkMa.. 2025. 4. 11. ip - 네트워크 명령어 ip 명령어는 iproute2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는 도구로,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IP 주소, 라우팅 테이블 등을 포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CLI 툴입니다.기존의 ifconfig, route, netstat 등의 다양한 명령어들을 하나로 통합하며, 보다 정밀하고 유연한 제어가 가능합니다.ip 명령어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 확인 및 제어IP 주소 할당 및 제거라우팅 테이블 및 정책 설정ARP 테이블 및 neighber 정보 관리ip 명령어 사용법ip [object] [command] [options] object 자주 쓰는 예시addr / aIP 주소 설정 및 조회ip addr showlink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리ip link set eth0 uproute.. 2025. 4. 10. rsync : 파일 백업과 동기화 rsync는 Remote Sync의 약자로, 로컬과 원격 시스템 간 파일을 빠르게 전송하고, 변경된 부분만 동기화해주는 유틸리티입니다. rsync의 특징rsync는 기본적으로 변경된 부분만 복사하기 때문에, 대용량 파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파일의 크기와 수정 시간을 비교해서 변경 여부를 판단하고, 파일 내부의 일부만 바뀐 경우에도, 바뀐 블록만 전송합니다.압축 전송으로 네트워크 효율성 향상Permision, Timestamp, 소유자 등 메타 데이터 유지SSH 프로토콜 기반의 안전한 파일 전송 rsync 패키지 설치 및 설정# rsync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rsync -qa | grep rsync# rsync 설치yum install -y rsync# rsync 설정 파일 경로# rsync.. 2025. 4. 9. Nginx LB 서버 - nginx.conf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서버 이중화를 위해 LB서버로 Nginx를 이용하여 구성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이전 글에서 Nginx 컴파일 설치 과정을 정리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proxy 설정과 서버 이중화를 위한 설정을 정리해보겠습니다.이전 글에서 nginx 컴파일 설치를 하며 주요 디렉터리 경로를 따로 지정한 후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nginx 서비스 명령어 - nginx.service 파일을 systemd에 등록하여 아래 명령어로 사용 가능systemctl daemon-reloadsystemctl enable nginx.servicesystemctl start nginxsystemctl status nginxsystemctl stop nginx# nginx.conf 설정 내용 체크cd /.. 2024. 3. 12. Nginx 컴파일 설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서버 이중화를 위해 LB서버로 Nginx를 이용하여 구성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리눅스 환경에서 개발환경을 조성할 때 설치방법이 패키지 설치와 컴파일 설치가 있는데,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컴파일 설치로 진행했습니다.먼저 컴파일 설치와 패키지 설치의 장단점을 비교해보고 nginx를 컴파일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하겠습니다. 패키지 설치 vs 컴파일 설치패키지 설치리눅스에서 필요한 환경을 설치할 때 yum, apt 등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이러한 yum, apt 같은 명령어를 package manager라고 한다.package manager는 소프트웨어의 설치, 업데이트, 구성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리눅스에서는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의존성.. 2024. 3. 12. ACM + Route 53을 이용하여 SSL 인증서 적용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AWS의 Route53을 이용하여 도메인과 IP를 연결해보려고 합니다.AWS의 Route 53이란?Amazon Route 53는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DNS(도메인 이름 시스템) 웹 서비스입니다. Route 53을 사용하여 세 가지 주요 기능, 즉 도메인 등록, DNS 라우팅, 상태 확인을 조합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시작하기 전에 저는 가비아에서 미리 도메인을 구입했습니다.ACM을 이용하여 SSL 인증서 발급 받기먼저 콘솔에서 AWS Certificate Manager에 접속합니다. 인증서 요청 버튼을 눌러 요청 페이지로 이동합니다.퍼블릭 인증서 요청을 선택 후 다음으로 넘어갑니다.도메인 이름에는 인증서를 발급받을 도메인들을 입력하는데 와일드 카드 형식도 가능하여 *.domain.. 2023. 11. 30. Git-Flow 브랜치 전략 프로젝트에 CI/CD를 적용하면서 브랜치의 용도를 나눠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기능의 우선순위를 나눠 버전 관리를 위해 Git-Flow 전략을 참고하여 브랜치를 5종류로 나눠 관리하려고 합니다.다양한 브랜치 관리 방법 중에 Git-Flow 방식을 도입한 이유는 앱 런칭을 위해 기획한 내용을 처음부터 완벽한 상태로 출시하기엔 어려운 점이 많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능의 우선순위를 두어 버전별로 서버를 배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Git-Flow 전략 간단하게 살펴보기Git-Flow에는 5가지 종류의 브랜치가 존재합니다. 항상 유지되는 메인 브랜치들(master, develop)과 일정 기간 동안만 유지되는 보조 브랜치들(feature, release, hotfix.. 2023. 11. 29. GitHub Action CI/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1) 이전에 프로젝트 배포를 할 때는 jar 파일만을 올리는 git repository를 이용하여 push 한 후, EC2 서버에 접속한 뒤 jar 파일을 pull 받아 실행시키는 방식으로 배포를 했습니다.이 방식을 여러 번 진행한 결과 수동으로 매번 빌드를 하고 파일을 옮겨야 하는 방식이 매우 비효율적으로 느껴졌고, 이 과정을 자동화 할 방법을 찾아보게 되었습니다.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빌드/배포 자동화 방식들을 알아보게 되었고, 여러 방식들을 찾게 되었습니다.그 중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인 Github Actions를 사용하여 다양한 배포 방식을 적용하기로 했습니다.Github Action은 워크플로우를 통해 빌드와 배포의 자동화가 가능하며, 서버의 상태를 확인하고 배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시킬 .. 2023. 11. 26. Github Action이란 Github Action이란GitHub Actions는 빌드, 테스트 및 배포 파이프라인을 자동화할 수 있는 지속적 통합 및 지속적 배포(CI/CD) 플랫폼이다. 레포지토리에 대한 모든 풀 리퀘스트를 빌드하고 테스트하는 워크플로를 만들거나 병합된 풀 리퀘스트를 프로덕션에 배포할 수 있다.GitHub Action을 사용하는 이유Github와 하나로 통일된 환경에서 CI 수행이 가능하다.중앙에서 관리하는 Github Actions Runner에 지속적으로 트러블 슈팅하여 원활한 CI 환경 구성이 가능하다.프로젝트마다 개별 Runner를 통한 빌드 테스트가 가능하다.Github Actions Runner 기동을 하기 위해 친숙한 문법의 YAML 파일로 간단하게 파이프라인 구성이 가능하다.깃허브가 public .. 2023. 11. 26. [AWS] ECR - Elastic Container Registry AWS에서 제공하는 Docker Hub와 비슷한 개념으로, 안전하고 확장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AWS 관리형 컨테이너 이미지 레지스트리 서비스이다.Docker Hub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지만 장점으로는 S3로 Docker Image를 고나리하므로 고가용성을 보장하고, AWS IAM 인증을 통해 이미지 push/pull 에 대한 권한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ECR의 구성요소RegistryAmazon ECR 프라이빗 레지스트리는 각 AWS 계정마다 제공되며, 레지스트리에 하나 이상의 리포지토리를 생성하고 이 리포지토리에 이미지를 저장함RepositoryECR 리포지토리에는 Docker 이미지, Open Container Initiative(OCI) 이미지 및 OCI 호환 아티팩트가 포함된다. 이.. 2023. 11. 26. Vagrant란? IaC란?IAC(Infrastructure as Code)는 인프라를 코드로서 정의하고 관리하는 개념을 의미합니다.IAC를 사용하면 인프라를 코드로 작성하여 버전 관리 시스템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변경 내역을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수동적이고 반복적인 인프라스트럭처 관리 작업을 자동화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IAC의 장점:일관성: 코드로 인프라를 정의하면 반복 가능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인프라를 배포할 수 있다. 수동 작업에 의존하는 것보다 실수를 줄이고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자동화: 인프라 아키텍처 배포를 코드화하고 자동화하여 개발 수명주기 전체에 걸쳐 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확장성: 코드 기반의 인프라는 확장성이 용이하다. 필요에 따라 인.. 2023. 6. 29. Raid의 정의와 구축 실습 RAID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는 여러개의 하드 디스크가 있을 때 동일한 데이터를 다른 위치에 중복해서 저장하는 방법이다.운영체제에서 하나의 RAID는 논리적으로 하나의 디스크로 인식하여 처리된다.RAID는 초기에 저용량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로 확장하여 사용했으나, 현재는 백업을 가능하게 하고 안정적인 데이터의 보존과 유지 기능, 속도 향상등에 사용된다.RAID에서 사용하는 기술스트라이핑(Striping)연속된 데이터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기록하는 기술이다.프로세서가 하나의 디스크에서 읽어들이는 것보다 더 빠르게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다면 매우 유용하다.대표적으로 RAID-0에서 사용하는 기술이고, 최소 2개의 디스크가 필요하다.미러링.. 2023. 6. 28. [kubernetes] 파드, 컨테이너, 도커, 쿠버네티스의 관계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이란?리눅스 운영체제의 커널 하나에서 여러개의 컨테이너가 격리된 상태로 실행되는 인프라 환경이다. 여기서 컨테이너는 목적을 위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프로세스이다.다수의 관리자가 수백대의 서버를 함께 관리해야하는 기업의 경우 서버 관리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각각의 프로그램을 컨테이너로 구현해야한다.여러 사람이 만져서 설정의 일관성이 떨어진 서버를 snowFlake라고 하는데 이런 경우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을 구성하면 서버의 파편화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의 구성 요소 *:컨테이너 엔진: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대표적인 컨테이너 엔진으로는 Docker, containerd, cri-o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컨테.. 2023. 6. 24. [kubernetes]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이란?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이란? 리눅스 운영체제의 커널 하나에서 여러개의 컨테이너가 격리된 상태로 실행되는 인프라 환경이다. 여기서 컨테이너는 목적을 위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프로세스이다. 다수의 관리자가 수백대의 서버를 함께 관리해야하는 기업의 경우 서버 관리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각각의 프로그램을 컨테이너로 구현해야한다. 여러 사람이 만져서 설정의 일관성이 떨어진 서버를 snowFlake라고 하는데 이런 경우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을 구성하면 서버의 파편화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의 구성 요소 : 컨테이너 엔진 :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대표적인 컨테이너 엔진으로는 Docker, containerd, cri-o 등이 있다. 이러한 .. 2023. 5. 2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