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은 소스 코드 변경 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분산 버전 관리 도구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설치만 한다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처음 사용할 때 반드시 설정해야 할 사용자 정보와 환경 구성이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Git 설치 방법부터, 사용자 정보를 설정하는 config 명령어 사용법, 그리고 GitHub 연동 시 로그인 정보를 캐시에 저장하는 방법까지 함께 정리해보았습니다.


Git 설치하기 (Linux, macOS, Windows)

Linux에서 Git 설치하기

Ubuntu 및 Debian 계열

Ubuntu 및 Debian 기반의 리눅스에서는 apt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여 Git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git
git --version #설치 후 버전 확인

 

RHEL, CentOS 계열

Red Hat 기반 배포판에서는 dnf 또는 yum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합니다.

#RHEL8, CentOS8
sudo dnf install git

#RHEL7, CentOS7
sudo yum install git

git --version #설치 후 버전 확인

 

Git 컴파일 설치

Git 컴파일을 위한 모듈 설치

yum -y install wget curl-devel expat-devel gettext-devel openssl-devel zlib-devel 
yum -y install gcc perl-ExtUtils-MakeMaker

→ 컴파일을 모듈 설치 시 perl-ExtUtils-MakeMaker에서 git1.8이 다운로드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기존의 git을 yum -y remove git으로 지워야 합니다.

 

Git 설치 폴더 생성 및 다운로드
Git download URL : https://mirrors.edge.kernel.org/pub/software/scm/git

mkdir /app/GIT
cd /app/GIT

wget https://mirrors.edge.kernel.org/pub/software/scm/git/git-2.42.1.tar.gz --no-check-certificate

tar xvf git-2.42.1.tar.gz
cd git-2.42.1
make prefix=/app/GIT/git all
make prefix=/app/GIT/git install

cd /app/GIT/git/bin
./git --version

 

Git 환경 변수 설정

vim .bash_profile

# Git Config
export PATH=$PATH:/app/GIT/git/bin
umask 027

source .bash_profile
git --version

 

Window 에서 Git 설치하기

공식 Git for Windows 설치

  • Git 공식 웹사이트에서 최신 버전의 Git for Windows를 다운로드합니다.
    https://git-scm.com/downloads/win
  • 다운로드한 .exe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Git Bash Here, Git GUI Here” 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으며, 기본 설정으로 진행해도 무방합니다.
  • 설치 후 명령 프롬프트(CMD) 또는 Git Bash에서 버전을 확인합니다.
    -> window 환경에서 Git을 사용할 시 Git Bash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winget 이용

Windows 10/11에서 기본 제공되는 winge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owerShell을 실행하여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winget install --id Git.Git -e --source winget

→ 설치 후에는 git --version을 이용하여 설치된 버전을 확인합니다.

 

Mac에서 Git 설치하기

Homebrew를 이용한 설치

macOS에서 Git을 설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추천되는 방법은 Homebrew 패키지 관리자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Homebrew 설치하기

#Homebrew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brew --version 

#Homebrew 버전이 안나온다면, 아래의 방법으로 설치
#ref : https://brew.sh/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Homebrew를 환경변수로 등록
echo 'export PATH="/opt/homebrew/bin:$PATH"' >> ~/.zshrc
source ~/.zshrc

#설치 확인
brew config

 

Homebrew를 이용한 Git 설치

brew install git
git --version

→ 최근 버전의 Homebrew의 경우 Git 명령어 + tab 입력 시 자동완성이 됩니다.

 

공식 웹사이트에서 설치

  • Git 공식 웹사이트에서 macOS 용 Git을 다운로드 합니다.
    https://git-scm.com/downloads/mac
  • .dmg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 설치 완료 후 터미널에서 git --version으로 버전을 확인합니다.

config - Git 환경 설정

Git을 사용하면 각 커밋에는 작성자의 이름과 이메일 주소가 함께 기록됩니다.
이 정보는 커밋 로그를 추적하고, 협업 중 기여자 식별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 이름 및 이메일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홍길동"
git config --global user.email "gildong@example.com"
  • --global 옵션은 전체 Git 환경에서 적용된다는 뜻입니다.
  • 특정 프로젝트에만 별도의 사용자 정보를 설정하려면 해당 옵션 없이 사용하면 됩니다.
명령어 설명
config user.name= 특정 프로젝트에서 커밋에 사용될 사용자 이름 설정
config --global user.name= 전체 Git 환경에서 사용될 사용자 이름 설정
config --global --unset user.name 특정 설정 값 삭제
config --global --unset-all 모든 설정 초기화
config --global core.editor “code --wait" 기본 텍스트 에디터 설정 (ex. VSCode)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새 저장소의 기본 브랜치 명을 main 으로 변경
config --global alias.co checkout alias 명령으로 git checkout의 역할을 함
  • git config user.name 에서 기존 설정을 덮어쓰면 자동으로 수정됩니다.
  • 사용자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변수에는 username, email, password등이 있습니다.

 

Git 로그인 유지 - 인증 캐시 설정하기

Git에서 원격 저장소를 사용할 때 git push, git pull 등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사용자 인증(token)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GitHub에서는 기존의 비밀번호 로그인 방식을 중단하고, Personal Access Token(PAT)를 사용하도록 변경되었기 때문에, 매번 토큰을 입력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이럴 때, Git Credential Helper를 사용하면 인증 정보를 캐시에 저장하여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macOS의 경우 (Key chain 사용)

macOS에서는 기본적으로 Keychain Accerss를 사용하여 자격 증명이 저장됩니다.

git config --global credential.helper osxkeychain

 

Window의 경우 (Git Credential Manager 사용)

Git for Windows 설치 시 기본적으로 Git Credential Manager(GCM)이 포함되어 있으며, 아래 명령어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git config --global credential.helper manager-core

 

Linux의 경우 (cache 사용)

Linux에서는 메모리에 일정 시간 동안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이 기본입니다.

git config --global credential.helper cache

기본 유효시간은 15분이며, 필요하면 다음과 같이 시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git config --global credential.helper 'cache --timeout=3600'

cache 대신 .git-credentials 파일을 통해 영구 저장도 가능합니다.

단, 이 방법은 보안 상 민감할 수 있어 공용 컴퓨터나 팀 환경에서는 사용을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git config --global credential.helper store

이후 GitHub 토큰을 입력하면 ~/.git-credentials 경로에 평문으로 저장됩니다.

 

Git 설정 수준 이해하기 - config scope

Git에서는 git config 명령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설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은 System, Global, Local의 세 가지 수준(scope)로 나뉘며, 설정 값이 충돌하는 경우 Local > Global > System 순서로 적용됩니다.

설정 수준 옵션 파일 위치 설명
System (시스템 전체) --system /etc/gitconfig 시스템에 있는 모든 사용자와 모든 리포지토리에 적용됨
Global (사용자 단위) --global ~/.gitconfig ~/.config/git/config 현재 사용자의 모든 리포지터리에 적용됨
Local (개별 리포지터리) --local /.git/config 특정 리포지토리에만 적용됨

 


Git을 처음 사용할 때는 단순한 설치 외에도, 정확한 사용자 정보 설정과 인증 캐시 구성까지 함께 마쳐야 원활한 개발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okbear3